오산시 교통망 개편이 시민들의 생활 동선을 실질적으로 바꾸고 있다. 버스 노선 조정, 철도 인프라 정비, 광역교통망 연계까지 동시에 이뤄지면서, 지역별 생활권은 새로운 이동 흐름을 만들어가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남부 생활권이다. 세교2지구와 초평동, 세마동 일대는 인구 유입에 맞춰 기존 버스 노선이 보완됐다. 7번은 통학 수요에 맞춰 정류장이 추가됐고, 7-5번과 C2번은 대형 저상버스로 교체되며 수용 인원이 확대됐다.
60번은 동탄역까지 연장되고 배차 간격도 60분에서 35분으로 줄었으며, 운행 횟수는 하루 18회에서 30회로 늘어나는 등 실질적인 교통 편의가 강화됐다. 99번도 신규 단지 경유로 접근성이 개선됐다.
서울방면 이동도 훨씬 수월해진다. 오는 5월 서울역 직행 광역버스 개통이 예정돼 있고, 판교·야탑역행 노선도 분리 신설되며 교통 선택지가 다양해졌다. 주요 주거지역 주민들은 자가용 중심에서 대중교통 중심으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공항 접근성도 눈에 띈다. 코로나19로 한때 중단됐던 오산역~김포공항 리무진 버스는 작년 말 운행을 재개했다. 장거리 환승 부담 없이 공항까지 한 번에 갈 수 있어, 출장·여행객들의 체감도는 높다.
철도 인프라도 변화 중이다. 지난해 12월 착공된 경부선철도 횡단도로 사업은 도심 단절 해소와 함께 지상 공간의 공공 활용 가능성을 열고 있다. GTX 동탄오산 연계 구상도 장기적 교통계획의 한 축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1호선 역세권 주변 개발과 맞물려 교통수요 기반도 재편 중이다.
보행 환경 개선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 자전거 도로와 연계된 순환 산책로, 대중교통과 연결되는 보행 동선 개선 등은 도보 중심 교통정책의 흐름을 보여주는 요소다.
오산시는 앞으로도 생활권별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교통정책을 추진해, 시민 중심 교통도시로 전환하겠다는 방향성을 세우고 있다.
이권재 오산시장은 “도시 구조 변화에 맞는 교통체계를 만드는 것은 단순한 이동 편의성 개선을 넘어, 시민의 생활 패턴과 도시의 방향성까지 함께 조정하는 과정”이라며 “생활권별 수요에 맞춘 교통인프라 정비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