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뉴스홈 > 네이버 검색결과
통합검색결과
전체검색 섹션검색 게시판검색 네이버검색
네이버 백과사전
귀엣고리. 귀고리. 이추아(耳墜兒). 이환(耳環).
이이 남매 화회문기
이이의 남매들이 유산을 분배한 재산상속에 관한 고문서 1축. 1968년 12월 1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1968년 12월 1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건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566년(명종 21)에 작성된
무지개
어린이들이 명절에 입는 색동저고리는 갖가지 색의 띠가 나란히 배열되는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하늘에도 이런 색동 띠가 있는데 바로 무지개이다. 무지개는 비가 온 후 산 위에 종종 걸쳐지
무지개
어린이들이 명절에 입는 색동저고리처럼 하늘에도 색동 띠가 나타난다. 비가 내린 뒤 산 위에 걸쳐지는 일곱 빛깔 무지개가 그것이다. 어릴 적에는 종종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대기 오염으로 거의
의령남씨족보
조선후기 문신 남익훈이 1693년에 편집하여 간행한 의령남씨의 족보. [내용] 분량은 4권 2책이며, 권1은 1책, 권2∼4가 1책이다. 2책 말미의 “계유년에 함흥부에서 간행했다(癸酉歲咸興府開刊)”이라
천전리 유적
강원도 춘성군 신북면 천전리(샘밭)(현재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춘천 천전리 고인돌(支石墓)로도 알려져 있다. 소양강변보다 한단 높게 형성된 퇴적평지(堆積平地)에
이경절
1571(선조 4)∼1640(인조 18). 조선 중기의 학자.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길보(吉甫). 증참찬 천(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감찰 원수(原秀)이고, 아버지는 우(瑀)이며, 어머니는 덕산황씨(德山
이경절
조선의 학자. 자는 길보(吉甫). 본관은 덕수(德水). 우(瑀)의 아들, 이()의 조카. 1615년(광해군 7) 문과의 회시(會試)에 합격, 전시(殿試)에 임하려다가 과거(科擧)의 공정성과 권위를 의심하여 이를
이름
성 아래에 붙여 다른 사람과 구별하는 명칭. 넓게는 성과 이름을 모두 합쳐 이름이라고도 한다. 이름은 한국 중세어에서 '일홈' 또는 '일훔' 등으로 표기되고 있지만, '이르다(謂)'나 '말하다'는 뜻을
이당
중국 여자들이 착용하는 귀걸이의 일종. 귓밥에 뚫은 구멍에 다는 북 모양, 깔대기 모양으로 된 작은 구슬장식.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이()는 진(瑱)이다. 진(瑱)은 구슬을 귀에 다는 것이
설문조사
검색된 설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