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
귀엣고리. 귀고리. 이추아(耳墜兒). 이환(耳環). |
|
|
|
무지개
|
어린이들이 명절에 입는 색동저고리는 갖가지 색의 띠가 나란히 배열되는 모양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하늘에도 이런 색동 띠가 있는데 바로 무지개이다. 무지개는 비가 온 후 산 위에 종종 걸쳐지 |
|
|
|
무지개
|
어린이들이 명절에 입는 색동저고리처럼 하늘에도 색동 띠가 나타난다. 비가 내린 뒤 산 위에 걸쳐지는 일곱 빛깔 무지개가 그것이다. 어릴 적에는 종종 볼 수 있었지만 지금은 대기 오염으로 거의 |
|
|
|
천전리 유적
|
강원도 춘성군 신북면 천전리(샘밭)(현재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춘천 천전리 고인돌(支石墓)로도 알려져 있다. 소양강변보다 한단 높게 형성된 퇴적평지(堆積平地)에 |
|
|
|
이경절
|
조선의 학자. 자는 길보(吉甫). 본관은 덕수(德水). 우(瑀)의 아들, 이(珥)의 조카. 1615년(광해군 7) 문과의 회시(會試)에 합격, 전시(殿試)에 임하려다가 과거(科擧)의 공정성과 권위를 의심하여 이를 |
|
|
|
의령남씨 족보
|
조선후기 문신 남익훈이 1693년에 편집하여 간행한 의령남씨의 족보. 의령남씨 족보는 조선 후기 문신 남익훈이 1693년에 편집하여 간행한 의령남씨의 족보이다. 체제는 표지, 서문, 보도로 구성되어 |
|
|
|
이당
|
중국 여자들이 착용하는 귀걸이의 일종. 귓밥에 뚫은 구멍에 다는 북 모양, 깔대기 모양으로 된 작은 구슬장식. 『설문해자(說文解字)』에는 ‘이(珥)는 진(瑱)이다. 진(瑱)은 구슬을 귀에 다는 것이 |
|
|
|
서원
|
조선 중기 이후 학문연구와 선현제향을 위하여 사림에 의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인 동시에 향촌 자치운영기구. [개관] 서원의 기원은 중국 당나라 말기부터 찾을 수 있지만 정제화(定制化)된 것은 |
|
|
|
일이
|
햇무리의 일종. 해의 옆에 귀고리[珥]처럼 둥글게 햇무리가 진 현상을 말함. |
|
|
|
천문학
|
우주의 구조, 천체의 현상, 다른 천체와의 관계 등을 연구하는 학문. [내용] 현재 민간에서는 전래되어 오는 몇 개의 별자리 이름이나 그에 얽힌 전설, 또는 몇 개의 별의 이름이나 미리내라고 하는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