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뉴스홈 > 네이버 검색결과
통합검색결과
전체검색 섹션검색 게시판검색 네이버검색
네이버 백과사전
맹자의 향원
'향원(鄕原)'이라는 글자 그대로의 뜻은 '동네[鄕]에서 신실하다(=原)고 인정받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글자 자체로는 나쁜 뜻이 없는데, 공자가 '사이비(似而非)' 군자를 가리키는 말로 이 말을
자왈: "향원덕지적야."
[원문] 子曰: "鄕原德之賊也." (자왈: "향원덕지적야.") [문법 설명 및 어휘 풀이] 1) 鄕原(향원): 매사에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따지지 않고 시속에 맞추어 두루뭉술하게 삶으로써 온 고을 사람들의 칭
수오재유집
조선 후기의 학자, 안민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00년(정조 24) 아들 이정(爾定)과 장손 원()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규의 서문이 있고 발문
주세붕의 유청량산록 일련사건 10
[여정경로] 관련여정 풍기로 돌아오다 콘텐츠 관련 콘텐츠가 없습니다. 부가인물 이대성 오인원 고려학사 최선 이국량 오수영 이원 박숙량 김팔원 농암 이현보 이대성 금치소 이문량 점필재 김종
태백편 16장
子曰(자왈) 狂而不直(광이부직)하며 侗而不(동이불원)하며 悾悾而不信(공공이불신)을 吾不知之矣(오부지지의)로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狂이면서 곧지 못하며, 無知하면서 謹厚하지 못하며,
양화편 13장
子曰(자왈) 鄕原()(향원(원))은 德之賊也(덕지적야)니라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鄕原은 德의 賊이다.” 鄕者는 鄙俗之意라 原은 與同하니 荀子原慤註에 讀作하니 是也라 鄕原은 鄕人之
공자재진장(광견장)
[37-1.] 萬章(만장)이 問曰(문왈) 孔子在陳(공자재진)하사 曰(왈) 盍歸乎來(합귀호래)리오 吾黨之士狂簡(오당지사광간)하여 進取(진취)호되 不忘其初(불망기초)라하시니 孔子在陳(공자재진)하사 何思
중국어 용법
중국어 어법이 어렵다는 이유는 이름 즉 용어의 생소함에서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모든 학문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어법 용어도 대부분 그 이름 자체에 이미
상진
국조(國朝)의 재상 가운데 공명(功名)으로 그 일생을 마친 사람은 어느 시대나 없지는 않으나, 여러 조정을 거쳐 섬기면서 신상에 화를 당한 일이 없고 덕을 지니고 장수하여 세상을 마치도록 임금
미나가와 기엔
미나가와 기엔은 에도 시대 유학자이다. 한시문과 주자학, 고의학과 고문사학 등 다양한 학문적 방법론을 차용하여 독자적인 음운학을 형성하였다. 기엔은 시서화에도 능하였으며, 당시 여러 방면
1
설문조사
검색된 설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