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뉴스홈 > 네이버 검색결과
통합검색결과
전체검색 섹션검색 게시판검색 네이버검색
네이버 백과사전
원고개시장 (대구)
[정의]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는 전통시장. [개설] 원고개시장(고개市場)은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에 있는 근린생활형 중형 전통시장이다. 1966년 대구시 서구 비산동 일대가 개발되면서
조씨전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권. 국문 필사본. ‘무오년 2월 초삼일에 필지(筆止)’라 쓴 것과 지질(紙質) 및 후기(後記)의 내용 중에 난중(亂中)이라고 언급한 것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충렬공유고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오달제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1697년(숙종 23) 사손(嗣孫) 수일(遂一)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윤증(尹拯)의 서문, 권말에 수일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비사불우부
자신과 세상과의 괴리로 인하여 느끼는 비애의 호소와 소인배들과 현실 정치에 대한 비판, 그리고 그 와중에 정의를 지켜오면서 겪는 고통 등을 토로한 부의 종류 가운데 소체부 작품이다. 1.작품
접동새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접동새」는 조선 후기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접동새 설화를 바탕으로 쓰인 소설로, 짧은 이야기 속에 3대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전반부는 강씨의 죽음과
불원천불우인
잘못을 남의 탓으로 돌리지 않는 것을 비유하는 말. 不 : 아닐 불 : 원망할 원 天 : 하늘 천 尤 : 허물 우 人 : 사람 인 원래 '군자(君子)는 하늘을 원망하지도 사람을 탓하지도 않는다'는 말로, 군자
자원자애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책망하고 수양에 힘쓴다는 뜻의 한자성어. 自 : 스스로 자 : 원망할 원 艾 : 쑥 애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뉘우치고 채찍질해 수양에 힘쓴다는 뜻으로, 잘못을 깨닫고 허물을
최상진은 한(恨)을 자신의 불행에 대한 자책의 정념과 자신의 불행에 대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심리가 결합된 복합감정 상태로 정의했다. 그는 한이 생겨나는 3대 조건으로 ① 부당한 차별대우를
원입골수
원한이 뼈에 사무친다는 뜻으로 원한이 마음속 깊이 맺혀 잊을 수 없다는 말. : 원한 원 入 : 들 입 骨 : 뼈 골 髓 : 골수 수 《사기(史記)》 〈진본기(秦本記)〉에 나오는 말이다. 춘추시대 오패(五
불구대천지원수
반드시 죽여야만 하는 철천지원수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不 : 아니 불 俱 : 함께 구 戴 : 머리에 일 대 天 : 하늘 천 之 : 어조사 지 : 원망할 원 讐 : 원수 수 불구대천지수(不俱戴天之讐)·불공대
설문조사
검색된 설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