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뉴스홈 > 네이버 검색결과
통합검색결과
전체검색 섹션검색 게시판검색 네이버검색
네이버 백과사전
유이태
조선후기 어의로 『마진편』·『인서문견록』·『실험단방』 등을 저술한 의관. 어의. [개설]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백원(伯源)이고, 호는 신연당(新淵堂) · 인서(麟西) · 원학산인(猿鶴山人) 등
이두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개설]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
문법 설명 및 어휘 풀이 색인
(가이): ~할 수 있다, ~해도 좋다. (2-11) 簡(간): 가리다, 간택하다. (20-1) 簡(간): 대범하다. (6-2) 諫(간): 바로잡다, (잘못을) 돌이키다. (18-5) 間(간): 다르게 여기다, 흠잡다. (8-21) 擧(거): 등용하다,
사이비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 似 같을 사, 而 말 이을 이, 非 아닐 비 [고사성어 돋보기] • 사람 인(亻, 人)과 써 이()로 이루어진 글자. • 이()는 탯줄(δ→厶) 달린 사람(人)을 본떠 탄생은 탯줄에서 비
大靑岛
从仁川向西北202km,甕津半岛向西南大约40km的距离,大靑岛与白翎岛,小靑岛一起,近邻于军事分界线。是距离黄海道长山串只有19km的国家安保的战略要塞之地。据文献记载,原名为包乙岛,推算
차자표기법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기록하던 표기법. [내용] 한자차용표기법이라고도 한다. 이는 이전에 향찰(鄕札)·이두(吏讀)·구결(口訣)·고유명사표기라고 구분하여 오던 것을 통틀어 일컫는 말
자로·증석·염유·공서화시좌, 자왈: "이오일일장호이, 무오이야. 거즉왈: '
[원문] 子路·曾晳·冉有·公西華侍坐, 子曰: "吾一日長乎爾, 毋吾也. 居則曰: '不吾知也,' 如或知爾, 則何哉?" 子路率爾而對曰: "千乘之國, 攝乎大國之間, 加之師旅, 因之饑饉, 由也爲之,
자로행이고, 부자무연왈: "조수불가여동군, 오비사인지도여이수여? 천하유
[원문] 長沮·桀溺耦而耕, 孔子過之, 使子路問津焉. 長沮曰: "夫執輿者爲誰?" 子路曰: "爲孔丘." 曰: "是魯孔丘與?" 曰: "是也." 曰: "是知津矣." 問於桀溺, 桀溺曰: "子爲誰?" 曰: "爲仲由." 曰: "是魯孔丘
훈가자
한자를 훈으로 읽되 그 표의성은 버리고 표음성만을 이용하는 차자. 차자 가운데 훈차. [개설] 한자를 빌려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것을 ‘차자 표기(借字表記)’라 하고, 차자 표기에 사용된 한자를
칠지도
일본 덴리 시의 이소노카미 신궁에 전해져 오는 철제 칼로 1953년 일본 국보로 지정되었다. 제작 연대와 명문 해석에 관해 한국과 일본의 역사학자들 사이에 다양한 학설이 있다. 단철(鍛鐵)로 만든
설문조사
검색된 설문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