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愚潭 丁時翰의 理 주재의 철학
|
Jeong, Si-Han's Neo-Confucianism focused on Li actualization 정시한은 이황이 사망하고 나서 100여 년이 지나 본격적 |
|
|
|
『韓非子』 「解老」의 ‘道’·‘理’ 槪念
|
The Concept of Dao and Li Seen in Jie Lao (Interpretation of Laozi) in Han Feizi 『韓非子』 「解老」에서 道는 만물의 |
|
|
|
栗谷에 있어서 理와 氣의 相互主宰와 그 의의
|
On the Mutual Supervision of Li & Ki in Yulgok's Philosophy and Its Meaning 목차
율곡에 있어서 이와 기의 상호주재와 |
|